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에서 운행하는 전동차이다. STS301L 스테인리스강 차체에 GTO-VVVF 인버터 또는 IGBT-VVVF 인버터를 사용하며, 6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7년부터 도입되어 현재 1세대 차량(201~256편성)이 운행 중이며, 2026년부터 2세대 차량 도입이 예정되어 있다. 이 전동차는 소음 문제로 인해 이중창을 사용하는 등 개선 노력을 기울였으며, 영화 튜브에 등장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증산역 (양산)
증산역(양산)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으로, 2015년 9월 24일 영업을 개시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 고가역이며, 양산공영차고지, 아파트 단지, 상업시설이 인근에 위치하고 부산대양산캠퍼스역과 호포역 사이에 있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호포역
호포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고가역으로, 1999년 개통 당시 종착역으로 시작하여 2008년 연장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으며, 2면 3선식 승강장을 갖추고 호포차량사업소 입고 열차가 종착한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철도 차량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 |
---|---|
기본 정보 | |
![]() | |
차량 이름 | 부산교통공사 2000계 전동차 |
별칭 |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
운영사 | 부산교통공사 |
노선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차량 정보 | |
차체 색상 | '#5AB12F' (연두색) |
편성량수 | 6량 |
MT비 | 3M 3T |
차량 정원 | 선두차: 113명 중간차: 124명 |
전체 편성 정원 | 722명 |
전체 길이 | 17500 mm |
전체 폭 | 2,750 mm |
전체 높이 | 3,640 mm |
차량 중량 | Tc: 29.6 t M1: 32.4 t M2: 31.3 t T: 24.6 t |
전체 편성 중량 | 179.9t |
궤간 | 1435 mm |
성능 | |
전기 방식 | 직류 1500V |
제어 방식 | VVVF-GTO 1C4M 제어 (알스톰) VVVF-IGBT 2레벨 1C4M 제어 (히타치 기반 우진산전) VVVF-IGBT 2레벨 1C4M 제어 (다원시스) |
영업 최고 속도 | ATC/ATP/ATO 구간 80 km/h |
설계 최고 속도 | 100 km/h |
기동 가속도 | 3.0 km/h/s |
감속도 | 영업 시 3.5 km/h/s (비상 시) 4.5 km/h/s |
기어비 | 14:99 (7.07) |
구동 방식 | WN구동방식 |
구동 장치 | 농형 3상 유도전동기 (알스톰 2R1X0100101형) |
전동기 출력 | 210 kW |
제동 방식 | 발전제동,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신호 장치 | ATC/ATP/ATO [수동 운전.자동 운전] |
제작 정보 | |
제작사 | 한진중공업 (→현대로템) 한국철도차량 (→현대로템) |
제작 연도 | 1997년 (201) 1998년 (202~228) 2001년 (229~244) 2002년 (245~256) 2026년~2030년 (201~256) |
생산량 | 56개 편성 336량 |
2. 기술 사양
차체는 STS301L, STS304 경량 고장력 스테인리스를 사용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스테인리스 차체에 외부 측면 비드(주름)가 없는 디자인을 적용했는데, 이는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2차분,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2차분,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에도 적용되었다. 대차는 1차 지지부에 셰브론 고무, 2차 지지부에 에어스프링을 사용한 볼스터 방식을 채택했다. 신호 시스템은 봄바디어 사의 설비를 사용했고 ATP/ATO를 사용하여 ATC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무인 운전도 가능하다.[1][2]
2. 1. 추진제어장치
제작 당시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201~252편성은 모두 GEC 알스톰(GEC Alsthom)제 GTO 소자 VVVF 인버터를 사용했다.[1] 그러나 일부 편성은 장치 교체 공사가 실시되어, 201~219편성과 221편성은 현대로템의 IPM 모듈 VVVF 인버터(히타치 OEM)로 교체되었다.[2] 253~256편성은 다원시스제 IGBT 소자 2레벨 1C4M VVVF 인버터 제어로 교체되었다.3. 배속
호포차량기지에 201~256편성이 6량으로 배속되어 있다.
4. 운행 구간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 - 양산
5. 편성
1편성은 6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M3T(3량의 동력차와 3량의 무동력차) 구조이다. 1C4M(1개의 VVVF 제어장치가 4개의 견인전동기를 제어) 방식이다.[1] 현재는 모두 6량 편성이지만, 장래에 8량 또는 최대 10량 편성까지 연장할 수 있다.[3]
5. 1. 편성표
(Tc1)(M1)
(T1)
(M1)
(M2)
(Tc2)
:
2028
:
2128
:
2628
:
2728
:
2828
:
2928
:
2056
:
2156
:
2656
:
2756
:
2856
:
2956